자산이나 부채의 교환 거래에서 부채를 인수하거나 자산을 취득하는 경우 거래 가격(transaction price)은 부채를 인수하면서 수취하거나 자산을 취득하면서 지급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이와 반대로 부채나 자산의 공정가치는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 입니다. 공정가치는 유출가격이고 거래가격은 유입가격 입니다. 많은 경우에 거래가격은 공정가치와 동일할 것으로 봅니다. 예를 들어서 거래일에 자산을 구입하는 거래가 그 자산을 매도하게 될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그러합니다. 하지만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서 지급할 가격으로 반드시 자산을 매도하지는 않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부채를 인수하면서 수취하는 가격으로 반드시 부채를 이전하지는 않습니다.
다음 상황 중의 하나가 존재할 경우 거래가격이 최초 인식 시에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① 거래가 강박 하에서 이루어지거나 매도자가 재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와 같이 매도자가 거래가격의 수락을 강요받을 경우
② 특수관계자 거래가 시장의 조건 아래서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어서 그런 거래의 가격이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투입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거래가 특수 관계자 사이의 거래일 경우
③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이 가장 유리하거나 주된 시장이 아닐 경우
④ 거래 가격이 나타내는 회계단위와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이나 부채의 회계단위가 다른 경우
다른 기준서에서 최초에 자산이나 부채를 공정가치로 측정할 것을 허용하거나 요구하면서 거래가격이 공정가치와 다른 경우에는 해당 기준서에서 다르게 정하고 있지 않은 한 이것으로 인한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6. 가치평가기법
가치평가기법(valuation techniques)을 사용하는 목적은 측정일에 부채를 이전하는 정상 거래에서의 가격을 추정하거나 현행 시장 상황에서 시장 참여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자산을 매도하는 가격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세 가지 가치평가 기법은 원가 접근법, 시장접근법, 이익접근법입니다.
① 원가 접근법은 자산의 사용 능력을 대체하는 데 현재 필요한 금액을 반영하는데 통상적으로 현행대체 원가라고 불립니다.
② 시장접근법에서는 비교 가능하거나 동일한 자산이나 사업, 부채와 같은 자산과 부채의 집합에 대한 시장거래에서 생성된 가격이나 기타 관련 정보를 사용합니다.
③ 이익접근법은 미래 금액을 단일의 현행, 할인된 금액으로 전환합니다. 이익접근법을 이용하면 공정가치 측정치는 그런 미래 금액에 대한 현행 시장의 기대를 반영합니다.
상황에 적합하고 관련된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 변수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관측할 수 있는 투입 변수의 사용을 최대화하면서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데 충분한 자료가 이용 가능한 가치평가기법을 사용합니다. 가치평가기법이나 그 적용 방법의 변경으로 인한 수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에 따라 회계추정의 변경(전진법)으로 회계처리를 합니다.
※ 보충
[유효이자율]
유효이자율은 거래의 내재이자율(IRP, internal rate of return)이 됩니다. 내재이자율은 다음 중에서 더 분명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합니다.
① 명목 금액의 현재가치를 제공하는 재화나 용역의 현금 판매 금액과 일치시키는 할인율
② 신용도가 비슷한 기업이 발행한 유사한 금융상품의 일반적인 이자율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성과를 체계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재무제표의 목적은 광범위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 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성과와 재무 상태변동, 재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재무제표는 위탁받은 자원에 대한 경영진의 수탁책임 결과도 보여주는 데 이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 재무제표는 아래와 같은 기업 정보를 제공합니다.
① 자산
② 자본
③ 부채
④ 소유주의 자격을 행사하는 소유주에 대한 배분과 소유주에 의한 출자
⑤ 차익과 차손을 포함한 광의의 수익과 비용
⑥ 현금흐름
이러한 정보는 주석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함께 재무제표 이용자가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이해하고 특히 그 시기와 확실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각의 재무제표는 전체 재무제표에서 동등한 비중으로 표시하고, 기업은 기준서에서 사용하는 재무제표의 명칭을 따르지 않고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체 재무제표는 다음을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
① 기말 재무상태표
② 기간 자본변동표
③ 기간 포괄손익계산서
④ 기간 현금흐름표
⑤ 전기에 관한 비교정보
⑥ 주석(유의적인 회계정책과 그 밖의 설명으로 구성한다.)
⑦ 회계정책을 소급하여 적용하거나 재무제표의 항목을 소급하여 재분류 또는 재작성하는 경우 전기 기초 재무상태표
많은 기업은 재무제표 이외에도 그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성과의 주요 특성과 기업이 직면한 주요 불확실성을 설명하는 경영진의 재무 검토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이런 보고서는 다음 항목에 관한 검토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① 기업의 자금 조달 원천과 자본 대 부채의 목표 비율
②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 상태표에 인식되지 않은 기업의 자원
③ 재무성과의 영향과 주요 결정 요인. 이것에는 기업이 처한 영업환경의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기업의 대응 계획 및 재무성과를 유지하고 향상하기 위한 기업의 투자정책 및 배당정책이 포함됩니다.
재무상태표 (0) | 2022.07.21 |
---|---|
재무제표의 일반사항 (0) | 2022.07.21 |
부채의 거래와 공정가치 측정 (0) | 2022.07.20 |
상각후원가와 공정가치 측정 (0) | 2022.07.19 |
자본 및 자본 유지의 개념 (0) | 2022.07.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