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자산(inventories)은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 중인 상품이나 제품과 같은 자산,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생산 중인 자산(재공품), 생산이나 용역 제공에 사용될 소모품이나 원재료를 말합니다. 재고자산은 외부로부터 매입해서 재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상품, 토지, 기타 자산을 포함합니다. 또 용역제공 기업의 재고자산에는 관련된 수익이 아직 인식되지 않은 용역 원가가 포함됩니다. 재고자산은 판매 목적의 자산으로 기업이 어떤 목적으로 자산을 취득했는가에 따라서 분류하는 것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공장을 신축할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는 유형자산이 되고 재판매를 위해서 취득한 토지는 재고자산이 되는 것입니다.
재고자산은 회계와 기업경영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재고자산은 원가 배분 결과에 따라 회계기간의 재무성과와 기말 재무 상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으로 배분되는데 재고자산의 회계처리 결과에 따라 배분되는 기말재고자산과 매출원가는 서로 반대 영향을 미칩니다.
② 재고자산은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과 관련되어 거래가 자주 발생하고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기초재고+ 당기 매입 - 기말재고 = 매출원가
③ 재고자산을 과다하게 보유하고 있거나 판매할 재고자산이 부족할 경우에는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재고 유지를 위한 많은 관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전환원가(제조간접원가와 직접노무원가) 및 재고자산, 매입원가를 경영진이 의도하는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를 모두 포함합니다. 취득원가는 매입가격에 제세금과 관세, 하역료, 매입운임, 완제품, 원재료와 용역의 취득과정에 직접 관련된 기타 원가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다만 제세금과 관세 중에서 과세 당국으로부터 추후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 부가가치세 대여 금이나 관세 환급금은 제외합니다. 또 리베이트나 매입할인 및 기타 유사한 항목(매입환출, 매입에누리)은 매입원가를 결정할 때 차감합니다.
취득원가= 매입가격+ 취득과정에 직접 관련된 기타 원가- 매입에누리·매입환출·매입할인·리베이트 등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될 수 없고 발생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해야 하는 원가의 예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 보관 원가
② 노무원가, 재료 원가,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③ 판매원가
④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서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데 기여하지 않은 관리 간접원가
매입에누리는 재고자산을 구입한 뒤에 파손되었거나 품질상의 하자가 있을 경우에 매입가격을 할인받는 것이고 매입환출은 품질상의 하자가 있거나 파손되었을 경우에 구입한 재고자산을 반품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매자는 매입환출과 매입에누리를 매입액에서 차감합니다. 반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매출환입과 매출에누리가 되고 매출액에서 차감합니다.
매입할인은 재고자산의 외상 대금을 조기에 지급할 경우 판매자가 매입가격 중 일정 금액을 할인해 주는 것을 말하고 리베이트는 매입가격의 일부를 다시 돌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구매자는 리베이트와 매입할인을 매입액에서 차감합니다. 반대로 판매자 입장에서는 리베이트와 매출할인이 되고 매출액에서 차감합니다.
재고자산을 구입할 때는 공급가액의 10%에 해당하는 부가가치세를 냅니다. 매입 부가가치세는 재고자산을 판매하면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매출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때 공제됩니다. 그러므로 재고자산을 구입할 때 부담한 부가가치세는 재고자산의 취득원가가 아닙니다.
제조기업 제품의 원가는 직접재료원가, 제조 간접원가, 직접노무원가로 구성됩니다. 전환원가(cost of conversion)에는 고정 및 변동 제조 간접원가, 직접노무원가의 체계적인 배부액을 포함합니다. 고정제조 간접원가는 생산설비의 정상조업도에 기초해 전환원가에 배부하는데 정상조업도와 실제 조업도가 유사한 경우에는 실제 조업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동제조 간접원가는 생산설비의 실제 사용에 기초해 각 생산 단위에 배부합니다.
상품매매기업은 완성된 재화를 구입해 판매하므로 재고자산 판매와 구입에 대한 회계처리를 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상품의 매출 거래와 매입은 자주 일어나므로 상품을 판매할 때는 매출에 대한 회계처리만 하고 매출원가는 수정분개로 기말에 인식합니다.
기말재고의 취득원가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단위원가와 수량으로 결정하는 방법이 있고 매출총이익률과 원가율을 이용해 추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량과 단가로 기말재고자산 금액을 결정할 때 단가는 가정해서 측정합니다. 이런 가정을 원가 흐름의 가정이라고 하는데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가중평균법, 개별법이 원가 흐름의 가정에 해당합니다. 비율을 이용해 추정하는 방법은 원가율과 매출총이익률을 이용해 기말재고자산 금액을 결정합니다.
원가흐름의 가정 (0) | 2022.07.26 |
---|---|
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 (0) | 2022.07.25 |
기타 재무제표 (0) | 2022.07.23 |
포괄손익계산서 (0) | 2022.07.22 |
유동자산과 유동부채 (0) | 2022.07.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