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

중급 회계

by berry1213 2022. 7. 25. 23:21

본문

반응형

오늘은 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들 중 8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고기간말을 전후에 발생한 재고자산의 매출과 매입거래는 어느 회계기간에 속하는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기업의 재무 상태와 재무성과를 회계기간 단위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정 수량의 재고자산을 기말 재무상태표 금액에 포함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는 수익 인식에 대한 기준서에 규정하고 있는 용역의 제공이나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 인식 기준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판매자가 수익을 인식한 재고자산은 판매자의 기말재고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1. 미착상품

 운송 중이어서 아직 도착하지 않은 미착상품은 법률적 소유권의 유무에 따라서 재고자산의 포함 여부를 결정합니다. 법률적 소유권 유무는 매매 계약상의 거래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선적지 인도조건(F.O.B. shipping point)인 경우에는 상품이 선적된 시점에 소유권이 매입자에게 이전되므로 운송 중인 미착상품은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됩니다. 목적지인도조건(F.O.B. destination)인 경우에는 상품이 목적지에 도착해 매입자가 인수한 시점에 소유권이 매입자에게 이전되므로 운송 중인 미착상품은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됩니다.

 

2. 시 송품

 시 송품은 매입자가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 매입 여부를 결정하라는 조건으로 판매한 상품을 말합니다. 시 송품은 비록 상품에 대한 점유는 이전되었지만 매입자가 매입의사표시를 하기 전까지는 판매되지 않은 것으로 봐야 하므로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됩니다.


3. 적송품

 적송품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판매를 위탁하기 위해 보낸 상품으로 적송품은 수탁자가 제삼자에게 판매할 때까지 수탁자가 점유하고 있지만 단순히 보관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통제하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적송품은 제삼자에게 수탁자가 판매하기 전까지는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합니다. 


4. 저당 상품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여 그 담보로 제공된 저당 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기 전까지는 담보제공자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저당권이 실행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까지는 단순히 저당만 잡힌 상태이기 때문에 담보제공자의 재고자산에 속합니다.


5. 미인도 청구약정

 미인도 청구약정(bill-and-hold arrangements)은 기업이 고객에게 제품의 대가를 청구하지만 미래의 한 시점에서 고객에게 이전할 때까지 그 제품을 기업이 물리적으로 점유하는 계약입니다. 예를 들어서 생산 일정이 지연되거나 고객이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경우 기업에 이러한 계약의 체결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업이 제품을 물리적으로 점유하고 있더라도 고객이 제품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고갱이 그 제품을 물리적으로 점유할 권리를 행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하더라도 고객은 제품의 사용을 지시하고 제품의 나머지 효익의 대부분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의 미인도 청구 판매를 수익으로 인식해야 하며 그 제품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기업이 수익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기업의 재고자산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6. 할부판매

 할부판매하면 이자 부분을 제외하고 판매가격에 해당하는 수익을 판매 시점에 인식합니다. 판매가격은 대가의 현재가치로서 수취할 할부 금액을 내재이자율로 할인한 금액으로 이자 부분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해 가득한 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이자 부분을 가득한 시점은 이자가 발생하는 기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재고자산을 고객에게 인도하고 대금은 미래에 분할해 회수하기로 했을 경우 대금이 모두 회수되지 않았어도 상품의 인도 시점에 매출을 인식하므로 판매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합니다.


7. 반품권이 부여된 재고자산

 반품권이 있는 판매(sale with a right of return)를 한 경우에 기업이 받을 권리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대가를 이전하는 제품에 대한 수익으로 인식하고, 반품이 예상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수익으로 인식하지 않고 환불 부채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환불 부채를 결제할 때 고객에게서 제품을 회수할 기업의 권리에 대해서는 자산을 인식합니다.


※ 참고
반환 재고회수권을 재무상태표에서 별도의 자산으로 표시할 것인지 재고자산에 포함하여 표시할 것인지의 여부는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반환 재고회수권을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하지 않고 별도 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반환 재고회수권을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책도 있을 수 있습니다.


8. 재매입약정

 재매입약정(repurchase agreements)은 자산을 판매하고 같은 계약이나 다른 계약에서 그 자산을 다시 살 수 있는 선택권을 갖거나 다시 사기로 약속한 계약입니다. 재매입약정이 금융 약정이라고 하면 기업은 자산을 계속 인식하고 고객에게서 받은 대가는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금융 약정에 해당하면 기업이 수익을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재고자산에 포함합니다. 

 

반응형

'중급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자산감모손실과 평가손실  (0) 2022.07.27
원가흐름의 가정  (0) 2022.07.26
재고자산의 의의  (0) 2022.07.25
기타 재무제표  (0) 2022.07.23
포괄손익계산서  (0) 2022.07.2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