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구성요소에는 각 분류별 기타포괄손익의 누계액과 이익잉여금의 누계액, 각 분류별 납입자본 등이 포함됩니다. 회계정책 변경에 따라서 각 자본 항목의 수정사항 총액과 오류수정에 따른 수정사항 총액을 각각 구분해서 자본변동표에 공포합니다. (자본변동표에 소급 적용으로 인한 효과를 별도로 표시한다는 의미)
※ 자본변동표에 이익잉여금(법정적립금 및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은 몰아서 한차례에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미처분이익잉여금을 법정적립금이나 임의적립금으로 적립하거나 임의적립금을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넣는 것은 자본변동표에 표시하지 않습니다. 이익잉여금을 이입하거나 적립하는 것은 이익잉여금 안에서의 변동이기 때문입니다.
자본변동표는 재무제표 간의 연계성을 끌어올려 정보이용자들에게 재무제표 간의 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런 자본변동표에는 재무상태표에 표시된 자본의 기초잔액과 기말잔액이 모두 표시됨으로써 재무상태표와 이어지고, 자본의 변동내용은 현금흐름표와 포괄손익계산서에 나타난 정보와 연결됩니다.
자본금의 변동은 주식배당과 유·무상증자에 의해 일어나고 우선주자본금과 보통주자본금으로 분류하여 표시합니다. 자본잉여금의 변동은 결손금처리, 유·무상증자 등에 의해 일어나고 주식발행초과금과 기타자본잉여금으로 구별해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은 해외사업 외화환산손익, 기타포괄손익 인식 금융자산 평가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 평가손익 등으로 구별해서 표시합니다.
이익잉여금의 변동은 회계정책이 변경되어 이로 인한 누적효과, 중대한 전기오류수정손익, 기타 전기 말 이익잉여금의 처분액, 당기순이익, 연차 배당, 중간배당 등으로 구별해 표시합니다. 전기에 이미 보고된 결손금(또는 전기이월이익잉여금)이 당기에 발생한 중대한 전기오류수정이나 회계정책 변경으로 인해서 변경된 경우 전기에 이미 보고된 금액을 따로 표시하고 오류수정이나 회계정책이 매 회계연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하거나 빼서 '수정 후 이월이익잉여금'을 표시합니다. 이 금액이 수정된 전기 말 재무상태표에서 보여지는 이익잉여금 기말잔액이 됩니다.
전기의 이익잉여금 처분한 사항들을 빼고 나면 '처분 후 이월이익잉여금'이 계산됩니다. 당기에 일어난 당기순이익과 중간배당을 여기에 반영하면 당기 말 재무상태표에 이익잉여금 기말잔액으로 표시됩니다.
상법 제447조에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작성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본변동표를 작성함으로써 기존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서 공급하는 정보를 자본변동표에서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가치가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기본 재무제표의 하나로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자본(순자산)의 증가와 감소 원인
(1) 포괄이익거래(손익거래) - 포괄손익계산서 취합 후
① 당기손익은 순이익만 이익잉여금(미처분이익잉여금)에 반영합니다.
② 기타포괄손익은 기타포괄손익 계정을 사용해서 자본에 직접 더하거나 차감하여 표시합니다.
(2) 자본계정 과목이 생긴 이유
(1) 자산이 늘어나거나 부채가 줄어들어서(즉, 순자산의 증가로 인해) 자본을 증가시키면서 생겨남.
(2) 자산이 줄어들거나 부채가 늘어나서(즉, 순자산의 감소로 인해) 자본을 감소시키면서 생김.
(3) 자본계정 간의 대체(이전, 이체)로 생김.
1. 대표적인 자본거래는 주식발행(증자), 주식소각(감자), 현금배당,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등이 있습니다.
2. 주식발행(증자- 자본금 증가)과 주식소각(감자- 자본금 감소)의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증자: 주식배당, 유상증자, 무상증자, 전환권 행사, 신주인수 권행, 출자전환, 주식 선택권 행사
감자: 무상감자, 유상감자
자본의 변동은 순자산(자산 - 부채)의 변동과 같습니다. 자기주식은 자본에 차감 표시하므로 자기주식을 얻게 되었을 때 얻은 대가만큼 순자산(자본)이 줄어들고 자기주식을 처분하게 되면 처분한 대가만큼 순자산(자본)이 늘어납니다. 자기주식을 소각하면 소각하는 그 순간에는 순자산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자본 총계도 변동이 없습니다.
정기주주총회에서 배당을 의논하여 결정하거나 적립금으로 적립을 결의하는 등 미처분 이익잉여금을 감소시키는 것이 이익잉여금 처분입니다. 이익잉여금처분 내용은 주석으로 공시하며 처분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적립금 적립: 임의적립금이나 법정적립금 적립
② 연차 배당: 현금배당, 현물배당 및 주식배당 결의
③ 상각: 감자차손 및 자기주식 처분손실, 주식할인발행차금 등 자본조정 항목의 상각
자본에 자본거래의 결과로 차감 표시하는 항목은 재무상태표에 보고 기간 말 잔액이 남아있을 경우 이익잉여금 처분으로 상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상법과 국제회계기준에는 자본에 차감 표시하는 자본조정 항목을 이익잉여금 처분으로 상각하는 것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그래서 회계학 문제를 풀이할 때는 문제에서 제시하는 대로 답하면 될 것입니다.
미처분이익잉여금은 회계정책의 변경 누적효과와 재평가잉여금과 재측정 요소 및 FVOCI금융자산평가손익(지분상품)의 자본계정 간 대신하는 것, 중요한 전기오류수정손익으로 변동할 수도 있습니다.
수익 인식요건 - 재화의 판매 (0) | 2022.10.21 |
---|---|
수익과 판매 시점 (0) | 2022.10.19 |
포괄이익거래- 당기손익, 배당, 적립금 (0) | 2022.10.17 |
자기주식, 전환우선주, 상환우선주 (0) | 2022.10.13 |
자본 거래- 주식 발행, 감자 (0) | 2022.10.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