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부채와 사채의 이론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금융부채란 무엇인지 정의를 살펴보고 분류와 처리하는 방법도 알아봅니다.
금융부채
1. 금융부채 정의
금융상품은 어느 한쪽은 금융자산이 생기게 하고 거래상대방에게는 지분상품이나 금융부채가 생기게 하는 모든 계약을 말합니다. 계약은 명확한 경제적 결과를 가지고 있으며 법적인 구속력이 있기 때문에 당사자가 경제적 결과를 자의적으로 회피할 가능성이 적은 둘 이상의 당사자들 간의 합의를 말합니다. 금융상품을 포함해서 계약은 반드시 서류로 작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한국 채택 국제회계기준에서 제시한 금융부채는 아래와 같은 부채를 말합니다.
(1)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상 의무
①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부채나 금융자산을 교환하기로 한 계약상의무
②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매입채무, 차입금, 사채, 지급어음 등)
(2) 자기 지분상품으로 결제되거나 결제될 수 있는 다음 중 하나의 계약
① 확정 수량의 자기 지분상품에 대해 확정 금액의 현금 등 금융자산을 교환해서 결제하는 방법이 아니라 그러한 방법으로 결제될 수 있거나 결제되는 파생상품
② 인도할 자기 지분상품의 수량이 변동할 수 있는 비 파생상품
2. 금융부채의 분류
모든 금융 부채는 후속적으로 상각 후 원가로 측정되도록 분류합니다. 단, 다음의 경우는 제외합니다.
①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 관여 접근법이 적용될 때 생기는 금융부채
②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③ 시장이자율볻 낮은 이자율로 대출하기로 한 약정
④ 금융보증계약
⑤ 사업결합에서 취득자가 인식하는 조건부 대가
3. 금융부채의 최초 인식
금융부채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거래 원가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가 아닌 경우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서 차감해서 측정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의 발행과 관련된 거래원 가는 당기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 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최초 인식할 때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4. 금융부채 후속 측정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에 의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해서 상각 후 원가로 측정합니다.
5.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가 소멸하거나 제삼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 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부채는 소멸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합니다. 금융부채의 소멸은 만료된 경우나 계약상 의무가 이행되거나 취소되는 경우에 이루어집니다.
금융부채의 일부를 상환(재매입)하는 경우 금융부채의 장부금액은 계속 제거되는 부분과 인식되는 부분에 대해 재매입일 현재 각 부분의 상대적 공정가치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사채
1. 사채의 의의
사채(bonds)는 기업이 채무증권(채무상품)을 발행하고 일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대어주는 경우 발생하는 부채입니다. 사채권에는 발행일, 발행회사, 액면금액 이자 지급일, 만기일, 표시이자율 등이 표시됩니다. 기업이 사채를 발행하면 만기일에는 액면금액을 지급하고 이자 지급일에는 액면금액에 표시이자율을 곱한 금액을 지급합니다.
사채는 미래현금흐름이 확정되어 있어서 발행금액은 발행일의 현재가치가 됩니다. 이때 사채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는 시장이자율로 할인해 계산합니다. 시장이자율은 기업이 사채를 발행해서 자금 조달 시 자본시장에서 내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기업이 부담하는 시장이자율은 기업의 위험 정도와 신용 상태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
시장이자율= 신용 가산 이자율(risk premium)+ 무위험 이자율(기초이자율)
사채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로 분류될 경우가 아니면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가 됩니다. 재무회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채를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로 분류한 경우 회계처리를 공부합니다.
사채권에 표시된 표시이자율과 시장이자율이 다를 경우 사채의 현재가치가 사채의 액면금액과 달라집니다. 표시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낮을 경우 사채의 현재가치가 액면금액보다 낮고 표시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더 높으면 사채의 현재가치가 액면금액보다 더 높아집니다.
2. 사채의 회계처리
사채를 발행할 때 기록하는 사채는 액면금액을 기록하고 차액은 사채할증발행차금이나 사채할인발행차금으로 처리합니다.
사채할증발행차금은 재무상태표 사채의 액면금액에 가산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고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재무상태표 사채의 액면금액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사채할인발행차금과 사채할증발행차금은 이자 비용을 유효이자율법으로 인식할 때 상각되어서 만기 시 사채 액면금액만 남습니다.
3. 사채 이자 비용과 발행비
사채를 상환하는 기간에 총이자 비용은 표시 이자와 액면금액을 합한 금액과 사채 발행금액의 차액이 된다. 사채를 발행한 후 상환하는 기간에 이자 비용을 인식해야 합니다.
상환기간 동안 총 이자 비용= 총상환금액(표시이자+액면금액)- 사채 발행금액
사채를 상환하는 기간에 매 회계기간의 이자 비용은 유효이자율법으로 인식하며 유효이자율법에 의한 이자 비용은 기초 장부금액에 유효이자율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유효이자 비용= 기초사채장부금액 × 유효이자율
사채를 발행할 때는 사채모집광고료와 사채권 인수회사인 증권회사에 지급하는 수수료, 인쇄비 등의 거래 원가가 발생합니다.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는 발행 관련 거래 원가를 금융부채 공정가치에서 차감하기 때문에 사채발행 수수료 등의 사채 발행비가 차감된 후의 금액이 됩니다. 사채 발행비만큼 사채의 장부금액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환하는 동안 이자 비용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사채발행비는 사채를 상환하는 동안 유효이자율법으로 이자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여기까지 알아본 내용을 통해 금융부채의 인식 시기와 측정, 사채 이자비용 계산과 회계처리에 대해서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금융부채의 조건 변경과 기타사항 (0) | 2022.08.18 |
---|---|
사채발행과 이자지급 (0) | 2022.08.17 |
차입 원가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8.12 |
재평가모형 (0) | 2022.08.09 |
무형자산의 상각 (0) | 2022.08.08 |
댓글 영역